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투자 어떻게 시작할까? ( #2. 증권사 선택 )

by 리브스퀘어 2021. 3. 27.
반응형

2. 증권사 선택

 지난 시간에 본인 환경에 맞는 거래 툴 ( HTS or MTS )을 선택했다면, 이제 증권사를 선택하면 된다. 일반 직장인 기준으로 작성하는 내용이니, 지금부터 작성되는 내용은 MTS 기준으로 참고하기 바란다. HTS, MTS 의 차이점을 아직 모른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livsquare.tistory.com/3

 

주식투자 어떻게 시작할까? ( #1. 플랫폼 선택 )

1. 플랫폼 선택 ( 거래 툴 )  주식 계좌 개설에 앞서 먼저 본인이 거래할 플랫폼을 선택해야 한다. 크게 아래 3가지 플랫폼 중 한 가지를 선택하면 된다.  1) HTS  2) MTS  3) 증권사 방문 3)의 경우는

livsquare.tistory.com

 

1) 증권사 선택의 기준

 증권사를 선택함에 있어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전업으로 투자하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아래 2가지 내용만 체크하길 바란다.

     

- 거래 수수료

- UI

 

(1) 거래수수료 비교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금융투자협회'를 검색한 후 접속한다. ( 링크 참조 ) www.kofia.or.kr/index.do

 

메인 | 금융투자협회

해외 주식정보 테이블 구분 증감 지수 전일비 증감 DOW JONES - .00 0.00 NASDAQ - .00 0.00 FTSE100 - .00 0.00 DAX - .00 0.00 차트의 이전 및 다음 차트, 재생, 일시정지 기능은 키보드의 스페이스바를 사용합니다.

www.kofia.or.kr

 

 

 아래 빨간 박스부분을 클릭한다.

금융투자협회

 

 

상단 메뉴의 금융투자 회사 공시 - 주식거래 수수료 버튼을 클릭한다.

금융투자협회

 

 

아래 화면과 같이 각 증권사별 수수료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수수료 부과기준 '변경 후' 파일을 열어보면 최신 거래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투자협회

 본인의 평소 거래 대금 양에 따라 최적의 증권사를 선택하면 된다.

 

 

(2) UI

 좋은 UI를 선택하는 조건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인 기준으로는 아래 자주 사용하는 몇 가지 사항의 편리함만 확인하면 된다.

 

- 종목뉴스 확인

- 차트

- 계좌 잔고 / 예수금 확인

- 주문 창

 

 본인이 투자 할 혹은 투자하고 있는 종목의 뉴스, 차트 정보는 수시로 봐야 하기 때문에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계좌 잔고의 경우 본인이 투자한 금액 대비 현재 금액 즉, 수익률을 종목별로 손쉽게 비교할 수 있어야 하며, 예수금은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간결하게 확인될 수 있어야 앞으로의 투자를 보다 편하게 계획할 수 있다.

 

 필자는 2개 회사의 어플을 사용해 보았으며, 그중 현재 키움증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아래 비교표를 참고 바라며, 기타 다른 증권사 어플들도 다른 블로그들에 많이 정보가 올라와있으니 비교하여 사용하기 바란다.

  키움증권 유안타 증권
수수료 ★☆
UI ★☆

 

키움증권

 키움증권의 경우, 수수료는 매우 저렴한 편이다. 0.015% ( HTS, MTS 모두 )

키움증권 거래 수수료율

 

키움증권 MTS UI의 경우, 약간 옛스러운 디자인이긴 하나 못 봐줄 정도는 아니다. 다만 기능적인 부분에서 조금 아쉬운 부분을 꼽자면 시가총액의 크기 따라 실시간 수급의 정보가 미표기되는 경우이다. 코스피 종목의 경우 시가총액 2000억 이상, 코스닥 종목의 경우 시가총액 1500억 이상의 종목에 대해서만 실시간 수급분석 추정치를 제공한다. 

키움증권 MTS UI

 

유안타증권

유안타증권의 경우, MTS 수수료는 0.1%로 다소 높은 편이다. 키움증권과 비교하면 거의 10배 가까이 차이 난다. 소액투자의 경우 미미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자주 거래하거나 몇 백, 몇 천만 원 이상의 금액으로 거래할 경우에는 수수료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발생할 것이다. 필자도 처음 주식을 유안타증권으로 시작한 이후 계속 사용해 왔으며, 수수료가 비싸다는 사실을 최근에 깨달았다. 여러 가지 정보를 참고하여 현재는 키움증권으로 갈아탄 상태이다.

 

 

유안타증권 거래 수수료율

 

유안타증권 MTS UI의 경우, 개인적으로 상당히 깔끔하고 세련되고 보기 편한 구조였다. 예를 들자면 키움증권의 경우 한 종목에 대해서 차트, 뉴스, 현재가 등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뭔가 각 메뉴를 찾아 헤맨다는 느낌을 받는 반면에, 유안타증권의 경우는 한 종목을 터치해 들어가면 대부분 필요한 정보에 대한 메뉴는 한눈에 들어오게끔 구성되어 있다.

유안타증권 MTS UI

 

필자는 현재 키움증권으로 갈아타고 UI에 어느 정도 적응되어가고 있는 상태이다. 어떤 정보를 찾기 위해 터치해야 하는 횟수가 유안타증권 대비 많은 건 사실이지만, 저렴한 수수료율이 커버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점유율 1위라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이다. 여러 증권사 어플을 모두 사용해 볼 수는 없겠지만 2개 ~ 3개 정도는 사용해 본 후, 본인에게 맞는 증권사 어플을 잘 선택하길 바란다.

 

다음 포스팅에서 비대면 주식 계좌 개설에 대해 알아보자.

https://livsquare.tistory.com/5

 

주식투자 어떻게 시작할까? ( #3. 비대면 주식 계좌 개설 )

3. 비대면 주식 계좌 개설 ( 키움증권 ) 예전에는 주식거래를 위한 계좌 개설을 하기 위해 무조건 증권사에 방문해야 했지만, 최근 거의 모든 증권사가 비대면 계좌 개설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증

livsquare.tistory.com

 

반응형

댓글